2025년 업무계획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로 국민과 함께 가겠습니다.
2025년도 업무계획
2025년 업무계획
국가철도공단
Ⅰ. 국민과 약속한 빠르고 편리한 국가철도망, 적기에 구축하겠습니다
- 1. 빠르고 편리한 철도 인프라 적기 구축으로 국민의 교통편의 증진
- 차질없는 국가철도망 구축 시행
- 광역철도 확대를 통한 교통 혁신 실현
- 수도권: 수도권 거점연결을 위한 GTX 신속 추진
- GTX-B, C 사업추진계획 집중관리로 신속 착공 노력
- 2기 GTX 사업 확정 시 성공적 추진 적극 지원
- 지방권: 교통 격차 해소를 위한 광역철도 구축
- 지역별 광역철도 사업 정상 추진, 도시 간 접근성 향상 기여
- 지방권 광역급행 철도 사업확장 시 신속 추진 지원
- 2. 철도망 확충으로 국토균형 발전 및 지역 간 교통격차 해소
- 지방소멸 시대, 철도와 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끄는 개발 모델 발굴
- 미래를 포용하는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지원 및 이행계획 마련
- 지역균형: 메가시티 구축, 균형 발전 선도 기여
- 네트워크 향상: 단절없는 철도 네트워크, 선로용량 해소
- 이행계획 수립: 재원조달, 열차운영계획 등 철도사업 실행 방향 설정
Ⅱ. 국민 편의와 안전을 중심으로 철도시설을 개량·관리하겠습니다
- 1. 철도 이용객 편의를 고려한 쾌적하고 안전한 철도 시설환경 조성
- 신규 고속열차 도입에 따른 시설 고도화
- 320km급 차량 상용화와 추가 도입에 따른 기존 기반시설 고도화 추진
- 전차선로 (속도향상)
- 변전소 (용량증설)
- 신호 (KTCS-2)
다차종(KTX, 산천, EMU) 열차 운영 고려, 차량정비기지 적기 구축
- 유지보수 첨단화로 철도시설 안전성 향상
- 첨단화와 데이터 기반의 예측 유지보수로 철도시설 안전관리 강화
-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 시설환경 확충
- 선로전환기(수동→자동) 개량 확대
- 역사 이동동선 개선 설계기법 발굴·적용
- 다차종 승강장안전문(RPSD) 시범 설치
- 기후변화, 자연재해 대비 대응체계 강화
- 재난발생 대비 위기관리 매뉴얼 개선
- 기상이변 대비 하천횡단, 노후교량 개량 추진
- 철도 구조물 지진력 향상을 위한 내진보강 시행
- 2. 빈틈없는 안전·품질관리로 중대재해 ZERO, 고품질 철도 실현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안전관리체계 마련
- 전사적 안전관리 강화
최신기술 활용 안전관리 강화
LED 레이저, 드론, AI
- 안전신호등 대상 확대로 자발적 안전문화 조성
현장의 안전관리 수준을 점검·진단·계량화하여 실시간 신호등으로 표출
- 고품질 철도시설물 구현을 위한 전방위적 품질호라동 전개
- 품질관리시스템 지속 개선
- 소규모 현장 맞춤형 현장 품질점검 및 교육 시행
- 주요자재 품질시험·검사 직접시행
Ⅲ. 민관이 함께 성장하는 철도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습니다
- 1. 입체적 철도부지 공간 활용으로 지역 성장 거점 마련
- 地下 | 철도 지하화 전담 자회사 설립을 통한 도시공간 재구조화 적극 실천
- 지하화 노선·구간
- 상부 개발 구상
- 철도 네트워크 재구조화
- 地上, 面 | 철도 연계 지역 개발로 국가 균형발전 실현 지원
- 사회적 변화와 지역의 특성을 연계한 민간제안 공모 추진
- 농촌: 농촌 청년 주거안정 및 일자리 제공
- 소도시: 시니어하우스, 펫파크 개발 제안
- 철도건설과 연계한 중소도시 역세권 개발 적기 추진
- 地上, 線 | 공익성 사용 접근성 강화로 국유재산 활용도 제고
- 유휴 국유재산 활용으로 공익적 가치 창출
- 국민의 국유재산 활용 접근성 증진으로 임대 활성화 추진
- 2. 철도산업 동반성장을 위해 철도업계 도약 지원
- 철도산업 기술개발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지원 강화
- 기술마켓 활용 철도분야 중소기업의 실질적 판로 확보 지원
- 기술마켓 등록·심의 절차 간소화
- 기술마켓 인증제품 및 혁신제품 설계사업 적용강화
- 중소기업 주도 R&D 지원을 위한 구매조건부 과제 민간과 협업 강화
- 터널 조명 및 피난유도등 제어시스템(~'25) 등 9건 추진
- 전략적 해외 마케팅 및 신규 사업모델 개발, K-철도 수출 기반 마련
- 해외사업 수주 기회 확대
- '민관합동 원팀코리아' 국산 철도기술 패키지 수출 추진
- TOD(대중교통 지향형 개발) 연계 해외철도사업 개발 추진
- 3. 악습은 근절하고, 대가는 공정하게 지급하는 청렴·상생 생태계 조성
- 비리·부정행위 및 불공정 관행 근절로 청렴한 철도산업 생태계 조성
- 청렴신고 포상제 도입
- 하도급 관리체계 전면 재정비
- 하도급사 직불 대금지급 시스템 개선
- 협력사 상생을 위한 철도건설 사업비 현실화 및 행정 간소화 추진
- 분야별·공종별 철도 표준단가 제정
- 시스템 분야 철도 표준 품셈 선진화
- 계약행정 간소화
Ⅳ. 기술 융·복합으로 철도산업의 미래를 선도하겠습니다
- 1. 한국형 철도기술 연구·개발로 K-철도 수출 경쟁력 확보
-
미래 철도 개척을 위한 융복합형 신규 국가 R&D 추진
- 하이퍼튜브의 핵심기술 개발
- 무정차 승하차 열차 기술 개발
- 디지털트윈 기반의 플랫폼 구축
-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철도시스템 전반의 차세대 기술 개발
- 차세대 고속열차 핵심기술 및 평가기준 개발
전차선로 시스템 고도화: 전차선로 가동브래킷 경량화 및 설계프로그램 마련
기대효과
- 시간단축: 약 60분/개소 → 30분/개소
- 비용절감: 약 60백만원
- 통합플랫폼 구축 방안 수립
철도기술 고도화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실용화 추진 → 선진국과 '기술격차 ZERO化'
- 2. 스마트기술 도입 본격화로 철도중심의 미래 모빌리티 시대 선도
-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한 철도 시스템 구축 본격화
- AI·빅데이터 접목 제2철도관제 시스템
- 전철전력 관제시스템(SCADA) 고도화
- BIM 기반 스마트 철도건설 및 유지관리
- 철도중심의 미래 모빌리티 혁신 및 탄소중립 실현 선도
- 철도역 중심 Door to Door
- 에너지 및 탄소 저감 기술 적용
- 대심도 철도사업 추진 기반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