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홈으로 공단소개 주요경영성과 2023년도 주요경영성과

2023년도 주요경영성과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로 국민과 함께 가겠습니다.

2023년도 주요경영성과

2023년도 주요성과

2023년 주요성과

국가철도공단

2023년도 주요성과

1. 경영혁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경영 혁신으로 성과 창출

강도 높은 혁신으로 선제적인 체질 개선

  • 정부 5대 혁신 과제
    • 100% 이행
      • 정원 40명 감소
        2,205명(2022) → 2,165명(2023)
      • 경상경비 1,344백만 원(6.9%) 감소
    • 추가과제 발굴·개선
      학자금, 퇴직금 등 복리후생 분야 4건
  • 자발적 경영개선
    • 자체 혁신계획 수립
    • 혁신 전담 추진조직 KR혁신팀 신설
      49개 자체 혁신과제 발굴·이행
    • 내부 평가 연계 강화
      자발적 경영개선 활성화 257건
"정부혁신과제 100% 조기이행 +α 자발적 추가과제 개선 완료"
  • 자산분야 적극 행정으로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2023년도 주요성과

1. 경영혁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경영 혁신으로 성과 창출

경영목표 및 전략과제 신설

  • 경영목표
    미래대응 혁신·책임경영 강화 → 효율적 중심 혁신·책임경영 실현
  • 전략과제
    • 대도시권 광역철도망 확충
      대도시권 GTX·광역철도망 확충
    • 철도 안전 관리 합리화
      철도 안전 협력체계 강화
    • 재무 리스크 관리로 경영 내실화
      안정적 재무 건전성 제고
  • 철도 총연장
    4,322km(목표) → 4,340km(실적)
  • 철도시설 사고율
    0.188%('22) → 0.165%('23): 12.2% 감소
  • 철도자산 영업이익
    1,487억 원(목표) → 1,545억 원(실적)
  • 노동 생산성
    4.02억 원(목표) → 4.24억 원(실적)
2023년도 주요성과

2. 국민소통

국민소통 우수기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2년 연속 최고 등급

  • 'KR 국민소통 추진계획' 고도화로 국민체감 성과 창출
    • KR 국민소통지수 신설
      소통지수 공공기관 평균 대비 18.3% 상승
    • 핵심 소통채널 운영
      대한민국 SNS 대상 최우수상 수상
    • 도시재생·복합문화공간 조성 역대 최다 추진(17건)
  • 정보공개 서비스 및 공공데이터 개방·활용 품질향상으로 국민 정보활용도 UP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웹 접근성 품질인증' 9년 연속 갱신'
    • 국토교통부 산하기관 최초 '국제표준 기록경영시스템(ISO30301) 인증'
    • 대국민 수요조사를 통한 맞춤 데이터 발굴(21건)·신규 개발(19건)
      공공데이터 개방 1위
      • SOC 안전 평균: 161건
      • 철도공단 727건
      • 평균 대비 4.52배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2년 연속 최고등급
2023년도 주요성과

3. 일자리·균등 기회

역대 최대 일자리(8,398명) 창출 및 3년 연속 충원율 100% 달성

  • KR형 일자리 전략 확립 및 이행 체계 강화
    목표 대비 104% 달성
    7,040명('22) → 8,398명('23): 19.29% 증가
  • 증원확보 및 결원 예측도 시스템 고도화
    3년 연속 충원률 100% 달성
  • 고충 심사 100% 수용 유연근무제 10종 신설
    이직자 80% 감소
  • 보훈대상자 취업 지원사업 우수기관 선정, 국가보훈부 장관상 수상
  • 일자리 창출 우수 고용노동부 장관상 수상 및 블라인드 채용 점검 지적 Zero
2023년도 주요성과

4. 안전·재난관리

안전 관리 체계 고도화로 국민이 안전한 안심 철도 구현

  • 준정부기관 최초, 안전 신호등 도입
    산업대해 최근 5년 평균 대비 약 43% 감소
  • KR 재난안전관리체계 고도화로 재난 대응 역량 제고
    Fast-Track 시행으로 수해복구 소요일수 75% 감축
  • 국민 생명 보호를 위한 안전 시설물 설치 확대
    철도시설 사고 감소 과거 5년 평균 대비 35.2% 감소
  • 행정안전부 재난 대응 안전한국 훈련 우수기관 선정
  • 보건복지부 자살 사고 예방 공로 장관 표창 (공공기관 유일)
2023년도 주요성과

5. 친환경·탄소중립

철도 특성을 고려한 탐소 감축 및 친환경 경영 실천

  • 정부 기준을 넘어서는 100% 에너지 자립역 설계(2건)
  • [공단 최초] 호남·수도권 고속철도사업비 300억 원 녹색채권 조달
  • 프로세스 개선 및 준법 경영 강화로 환경 사고 획기적 감소
  • KR 환경경영지수
    428.30점('22) → 563.86점('23): 31.6% 증가
  • 환경 법규 위반 감소
    8건('22) → 1건('23): 87.5% 감소
2023년도 주요성과

6. 상생협력·지역발전

선도적 제도 혁신과 전방위적 지원으로 동행의 가치 실현

  • [공공기관 최초] 설계보상비 조기 지급, 제도혁신으로 민간기업 현장 애로 해소
    기재부에 先제안하는 적극 행정 실현, 규정 개정 및 全 공공기관 확대
  • 중소협력사 우선구매 목표 및 부서평가 배점 선도적 상향
    실적 9.2배 증가
  • 철도어린이집 비수도권까지 전국적 확대
    탄현역, 행신역 2개소 추가 신설
  • 지역밀착형 사회공헌 인정, '서울특별시의회의장 표창' 수상
  • 한국공공정책평가협회 철도어린이집 우수행정 선정
2023년도 주요성과

7. 윤리경영

기획재정부 윤리경영 표준모델 우수사례 선정

  • 경영권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 윤리경영 표준모델 구축

    전 협력사 갑질 발생 Zero!!

    • 기관장 주관, 전 임원이 참여하는 반부패윤리경영위원회의 검토 및 의결
  • [공단 최초] 'KR맞춤형 부패리스크 등급' 설정, 'KR인권종합지수' 도입

    권익위 청렴노력도 2등급 향상

    • 6년 연속 국제표준 반부패경영시스템(ISO37001) 인증
    • 인권영향평가 역대 최고점(95.5점), KR인권종합지수 A등급 달성
  • 기재부 윤리경영 표준모델 우수사례 선정 (全 기관 중 3개)
2023년도 주요성과

8. 조직·노사관계

직무 중심 조직·인사관리 혁신, 미래지향적 노사관계 정립

  • 직무 중심 조직·인적 배분으로 핵심사업 추진 실행 동력 Up!
    • 조직
      • 직무 세분화(4단계)하여 구성원 역할 수준에 따른 업무 명확화
      110개 → 383개
    • 인력
      • 공구 수 기준미달 현장 조직 4개 통폐합으로 조직 슬림화
      • 임시조직 통폐합 추진으로 조직 슬림화 ('23년 대비 '24년 △5개 TF)
  • 노사 상호신뢰 기반의 갈등관리로 정부 지침 선도적 이행 100% 완료
    • 복지
      • 국민 눈높이에 부합된 보수·복지제도 운영
      • 공공기관 복리후생 혁신 지침 및 권익위 권고사항 100% 개선 완료(총 8건)
      • 실무협의 안건 수용률
        83.9%(31건, '22년) → 100%(36건, '23년)
    • 노사
      • 소통·협력 기반 불합리한 제도 개선
      • 노사협의회 프로세스 개선으로 상시 VOC 27건 중 15건 즉시 처리
      • 노사관계지수 달성률
        97.1%('22년) → 97.7%('23년)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품질상 인재개발 부문 대통령상 표창
2023년도 주요성과

9. 촘촘한 철도망 구축

수도권 30분대 이동 & 지역 고속철도 서비스 확대

  • 출퇴근 30분 시대! GTX 성공적 수행
    • 자재난 등 사업지연 리스크 선제적 해소
    • GTX-A 개통('24.3), GTX-B·C '24년 상반기 착공
  • 수도권 이동시간 Down, 이용객 Up
    • 대곡~소사(김포공항역) 국내 최초 5개선 환승 구현
    • 연천에서 서울까지 전동열차 직결
    • 대곡~소사 개통
      • 45% 이동시간 단축
      • 50% 이용객 증가
    • 동두천~연천 개통
      • 33% 이동시간 단축
      • 68% 이용객 증가
  • 전국 곳곳 SRT를 더욱 촘촘히
    • 영호남권 11개市(380만 명) 교통편의 확대
      부산, 포항, 전주, 여수엑스포, 목포
    • 경상남도를 빛낸 키워드 BEST 5
      경상남도청 선정 '23년 12월
적기 개통 3건, 신규사업 6건 착공 대국민 약속 100% 이행 (철도 총연장 증가량 전년 대비 105%↑)
2023년도 주요성과

10. 제도혁신

민간기업의 현장 애로 해소를 위해 불합리한 제도혁신

  • [공공기관 최초] 기술형 입찰 설계보상비 조기 지급
    현장 목소리: 인력비용 先투입, 後보상으로 경영 부담
    • 기존 (평균 16개월 소요)
      입찰 시 소요 비용 최종낙찰자 결정 후 지급
      1.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2. 실시설계 시행 및 최종 낙찰 선정
      3. 보상비 지급
    • 개선 (즉시 + 최종)
      탈락 즉시 우선지급 + 최종 확정 시 최종 지급
      1.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2. 보상비 1차
      3. 실시설계 시행 및 최종 낙찰 선정
      4. 보상비 2차
    수사~광주 등 2개 사업 설계보상비 1차 지급 단축(194억원, 14개월)
  • [적극 행정] 신기술업체 적정 대가 지급
    현장 목소리: 기술사용 협약~계약·현장 적용까지 물가 상승으로 부담
    • 기준 (물가 변동 x)
      1. 공단
        공사대금 E/S 반영
      2. 기술사용 업체
        공사대금
      3. 기술 보유 업체
    • 개선 (물가 변동 O)
      1. 공단
        공사대금 E/S 반영
      2. 기술사용 업체
        공사대금 'E/S 반영'
      3. 기술 보유 업체
    월곶~판교 등 2개 사업 신기술(90건) 물가 변동 반영(295억 원) 예정
  • 기획재정부에 先제안으로 설계보상비 조기 지급 『全 발주기관 확대』
  • 공공기관 계약 관행 개선을 통한 협력사 부담 완화 및 동반성장 기반 마련
2023년도 주요성과

11. 국민 교통 편익 증대

더 안전하고 스마트한 시설 현대화로 국민 교통 편익 증대

  • 지역 숙원사업 적극 행적으로 돌파!
    • 안전 개통 TF 구성 (공단-철도공사 TF)
    • 양산시(물금역) KTX 정차로 양산~서울까지 1시간 단축
      210분(개통 전) → 150분(개통 후): 29% 감소
  • 중앙선 KTX 서울역까지 첫 운행!
    • '복합열차' 운행 아이디어 발굴!
    • 청량리역 승강장 확장·개량
    • 안동~서울역까지 환승 없이 한 번에!
  • 혼잡한 역사 '똑똑하게' 안전 확보!
    • 스마트센서·CCTV → 실시간 위험 대응
    • 수서역 스마트역사 구축(12월)
      • 지상 대피경로
        • 상하좌우 방향 표시
        • 음성 대비 안내
        • LED 조명 기능
      • 최단대피경로
        이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비상 대응
      • 위험 관련
        • 화재 발생 시 진입 금지 안내
        • 온도, 연기 센서
  • 승강장 연장 등 철도시설 개량 → 철도 신설과 같은 획기적 효과 창출
2023년도 주요성과

12. 철도 세계화

20년 만에 철도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원팀 코리아로 K-철도 세계화 선도

  • 폴란드

    유럽 진출 신호탄, 폴란드 432억 수주

    高 진입장벽 불구, 우수 기술력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佛 제치고 수주 성공
  • 우크라이나

    한 철도 대표, 우크라 철도 재건 본격화

    정부 6대 재건 사업 중 철도 대표로 관제센터 신설 등 K-철도 협력 첫발
  • 라오스

    K-철도 패키지 수주로 민간 진출 마중물

    라오스-베트남 기본계획(30억)
  • 인도네시아

    K-철도 패키지 수주로 민간 진출 마중물

    발리 경전철 타당성 조사(16억)
  • 신규사업 수주 건수
    3건('22년) → 6건('23년): 100% 증가
  • 신규사업 수주 금액
    217억 원('22년) → 486억 원('23년): 123% 증가
  • 민간기업 동반진출 규모
    60억 원('22년) → 391억 원('23년): 551% 증가
2023년도 주요성과

13. 철도자산 개발

자산개발 혁신으로 민간투자 활성화 및 철도산업 성장동력 확보

  • 자산개발 3법 개정으로 수익성·효율성·성장성 UP!
    • 철도시설 임대 기간 확대(30년→50년)
      자산개발 사업 수익성 16% 증가
    • 역세권개발 사업 프로세스 간소화
      사업 소요 기간 21% 단축
    • 공단 사업 범위에 철도산업단지 조성 추가
      철도 클러스터 사업 본격 추진
  • 건설 따로, 개발 따로 → 사업자 일원화로 한 번에!
    1. 개별 공사 시행: 사업비, 기간 증가
    2. 통합 공사 시행: 사업비, 기간 감소
    사업 기간 단축(최대 45%) 및 사업비 282억 절감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 평가
평가하기
등록하기

담당자 · 대표번호 : 1588-7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