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홈으로 KR 홍보 보도ㆍ참고ㆍ해명자료(목록)

보도ㆍ참고ㆍ해명자료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로 국민과 함께 가겠습니다.

  • 작성자김서현
  • 조회수239

제목[보도] 국가철도공단, K-철도교통관제센터 최신 기술 세계화

국가철도공단, K-철도교통관제센터 최신 기술 세계화 - 우크라이나 철도교통관제센터 사전타당성조사 현지 최종보고회 개최 - □ 국가철도공단은 우크라이나 통합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최종보고회를 지난 3일(목)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개최했다고 7일(월) 밝혔다. ○ 해당 사업은 우크라이나 철도 인프라 재건 사업의 일환으로, 현지 관제센터 현황조사, 신호 기술 수준 분석, 사업 수행계획 수립, 사업비 산출 및 경제성 분석 등이 시행되었다. □ 이번 보고회는 우리 측 국토교통부, 외교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우크라이나 측 영토개발부,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등이 참석했다. ○ 이날, 공단은 우크라이나가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국제 물류 허브로 발돋움하기 위한 통합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의 필요성과 경제적‧기술적 타당성 등을 발표했으며, ○ 공단의 과거 구로 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 경험과 현재 수행 중인 오송 제2철도교통관제센터 건설 경험을 공유하고, 후속 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 한편, 철도공단은 우크라이나 철도교통관제센터 설립 협력을 위해 지난 2023년 11월 공단-우크라이나 철도공사 간 MOU를 체결했으며, 공단 자체 제도인 ‘K-철도 해외개발사업(K-IRD*)’으로 이번 사업이 선정되어 조사를 수행해 왔다.    * K-IRD(K-International Railway Development) : 신규 해외 철도사업 발굴을 위한 사업 타당성조사 지원 제도 □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우크라이나 통합 철도관제센터 건설사업은 우크라이나 철도 인프라 재건과 현대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발맞춰 한국의 철도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는 등 협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담당부서 글로벌사업본부 글로벌사업처 / 처장 차두표, 해외사업2TF부장 박노민 (042-607-3282)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 평가
평가하기
등록하기

담당자 · 담당부서 : 언론홍보 · 문의전화 : 042-607-3084

담당자 · 담당부서 : 언론홍보 · 문의전화 : 042-607-3074

담당자 · 담당부서 : 언론홍보 · 문의전화 : 042-607-3085